1번째로 수질 정화원은...?
규 모 : 936m²(4.5mх9m, 4계단으로 구성)
식재식물 : 부레옥잠, 마름, 줄, 갈대, 창포 등 수생식물
구 성 : 약품침전지를 재활용한 수질정화원은 물을 정화하는 여러 수생식물의 생장과 정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이 곳은 가로 26M, 세로 43.5M, 깊이 5M 크기의 수조2개소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물속의 불순물을 가라앉혀 제거하는 역활을 하던 곳이다.
이곳에서 처리된 물은 현재 방문자안내소로 쓰이는 제2여과지로 보내졌었다.
수생식물이 식재된 계단식 수조를 거치면서 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가까이에서 관찰 할 수 있는 곳이다.
물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물질인 유기물과 인(P)등을 뿌리를 통해 흡착, 흡수함으로써 물을 깨끗이 하는
수생식물들은 강과 시냇물 그리고 호수와 연못이 자정작용을 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구실을 한다.
2번째로 녹색기둥의 정원은.....?
규 모 : 4.6mх46m, 면적 3.976m²
식재식물 : 담쟁이
구 성 : 정수지의 콘크리트 상판 지붕을 들어내고 기둥만을 남긴 정원 담쟁이로 뒤덮인 기둥이 공간에 고요함과 질서를 부여하여 사색과 휴식의 공간을 연출한다.
이곳은 가로30M, 세로 40M, 높이 5.25M 크기의 2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생산된 수돗물을 저류하던 곳이었고,
상부는 테니스장으로 이용되었다. 이곳의 물은 현재 한강 전시관으로 쓰여지는 송수펌프실에서 최종 소비자에게 보내졌다.
옛 정수지의 윗 부분을 덮고 있던 구조물은 철거하고 기둥만 남겨 고요한 질서을 지닌 휴식과 사색의 공간을 조성하였다.
기둥 끝부분에 붙어 남아 있는 상부 덮개의 흔적은 이곳의 지난 모습을 상상할 수 있게 한다.
정원 가운데 긴 의자가 있는 곳은 구조물을 두개로 나누는 벽이 있던 자리이다.
어둠이 찾아와 녹색기둥 하나 하나마다 달라붙어 자라고있는 담쟁이넝쿨에 조명이 비추면 삭막한 콘크리트가 자연과 빛이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변한다.
특히 밤에 빛과 잘어울려져 영화 및 드라마 촬영지로 많이 촬영되었다.
3번째로 수생식물원은.....?
규 모 : 56.9mх48.9m, 면적 2.782m²
식재식물 : 백련, 수련, 갯버들, 금불초, 낙지다리 등
구 성 : 여과지를 재활용한 수생식물원은 낮은 수반에 자리잡은 다양한 수생식물의 모습과 생장과정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다
제 1여과지
이곳은 가로 8M, 세로 17.5M 크기의 8개의 수조를 갖추고 있던 지상 1층 연면적 2,564㎡의 건물로 모래와 자갈로 된 여과장치로 물 속의 불순물을 걸러내던 곳이었다.
이곳에서 걸러진 물은 현재 녹색기둥의 정원과 한강전시관으로 쓰여지는 정수지에 저류 되었다.
수생식물들은 다른 식물들에 비해 환경오염과 파괴에 더욱 민감하여 지금도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수생식물들이 풍부하게 자라고 있는 곳은 곧 그곳의 환경이 건강하고 단조롭지 않다는 증거이며,
곤충과 동물들에게도 이상적인 삶의 터를 제공한다.
습기가 많은 곳에 사는 습지 식물과 얕은 물가에 사는 정수식물들은 주로 북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물위를 떠다니며 생할하는 부유식물, 뿌리는 땅속에 있으면서 잎을 물 위로 띄우는 부엽식물과 물속에서 사는 수중식물은 주로 남쪽에 자리 잡고 있다.
4번째로 시간의 정원은.....?
규 모 : 4.6mх46m, 면적 3.976m²
식재식물 : 당귀, 백리향, 으아리, 줄사철, 고사리류, 자작나무 등
구 성 : 약품침전지를 재활용하여 다양한 식물의 세계를 꾸민 공간.방향원, 덩굴원, 색채원, 소리의 정원, 이끼원, 고사리원, 푸른 숲의 정원,
초록벽의 정원 등 작은 주제정원을 감상할 수 있다.
제 1침전지
이곳은 가로 41M, 세로 41.4M, 깊이 5M 크기의 수조 2개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물속의 불순물을 가라앉혀 제거하는 역활을 하던 곳이다
주제정원들 중 기존 구조물을 가장 온전하게 남겨 활용한 공간으로 그 안에 자리 잡고 자라나는 식물들이
시간의 흔적을 더욱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까닭에 시간의 정원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옛 구조물의 형태를 살려 햇빛과 그늘, 스도를 조절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생육환경을 만들었다.
그에 따라 각기 다른 주제를 가진 작은 정원들은 그 생육환경에서 자라나는 다양한 식물들을 보여준다.
끝으로 시설이용 안내 입니다
테마정원 - 『수질정화원』,『수생식물원』,『녹색기둥의 정원』,『시간의 정원』으로 구성
-운영시간 : 06:00 ~ 24:00 선유도안내센터 Tel : 02-3780-0590
주차시설 - 일반차량 출입제한
장애인 이용 차량만 주차가능
1개소, 총 48대 주차가능
선유교 - 길이 469m(아치 120m), 폭 3~14m(선유교 양끝 지점 14m, 선유교 중앙 3m)
안개분수 - 선유도공원 남측 옹벽에 설치(동절기 운영중지)
가동시간 : 하루 4회 야간에만 가동
(20:00~20:10, 21:00~21:10, 22:00~22:10, 23:00~23:10)
매점시설 - 까페테리아 『나루』 - 음료 및 양식전문 02-2068-6340
월드컵분수대 - 위 치 : 선유도 하류 410m 지점
가동기간 : 4월~10월 (7개월)
가동시간
평일 : 고유가 에너지 절약 대책에 따라 당분간 평일은 가동 중지
"매주 월요일은 정비의 날"입니다.
휴일(토,일요일 및 공휴일 : 11:00(2시간), 17:00(2시간)
HI Seoul Festival 행사기간 토,일 및 공휴일 :
11:00(2시간), 17:00(3시간)
가동중지 : 비, 짙은안개, 강풍 등 부득이한 사유로 가동할 수 없는 경우...
기타시설 - 선유교, 선유정, 방문자안내소, 환경물놀이터
"유의사항"-- 공원 내 자전거 이용불가(진입금지)
이렇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저도 이곳에 오래 살았지만 아직까지 많이 지나는 다녀보았지만 실제 가본적은 없기에
이번기회에 함 가볼려고 합니다...
1.수질정화원 2.녹색기둥의 정원 3.수생식물원 4.시간의 정원 이렇게 있다고 합니다
홈페이지 들어가보니 자료가 있어 그대로 복사해 올립니다...
1번째로 수질 정화원은...?
규 모 : 936m²(4.5mх9m, 4계단으로 구성)
식재식물 : 부레옥잠, 마름, 줄, 갈대, 창포 등 수생식물
구 성 : 약품침전지를 재활용한 수질정화원은 물을 정화하는 여러 수생식물의 생장과 정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이 곳은 가로 26M, 세로 43.5M, 깊이 5M 크기의 수조2개소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물속의 불순물을 가라앉혀 제거하는 역활을 하던 곳이다.
이곳에서 처리된 물은 현재 방문자안내소로 쓰이는 제2여과지로 보내졌었다.
수생식물이 식재된 계단식 수조를 거치면서 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가까이에서 관찰 할 수 있는 곳이다.
물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물질인 유기물과 인(P)등을 뿌리를 통해 흡착, 흡수함으로써 물을 깨끗이 하는
수생식물들은 강과 시냇물 그리고 호수와 연못이 자정작용을 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구실을 한다.
2번째로 녹색기둥의 정원은.....?
규 모 : 4.6mх46m, 면적 3.976m²
식재식물 : 담쟁이
구 성 : 정수지의 콘크리트 상판 지붕을 들어내고 기둥만을 남긴 정원 담쟁이로 뒤덮인 기둥이 공간에 고요함과 질서를 부여하여 사색과 휴식의 공간을 연출한다.
이곳은 가로30M, 세로 40M, 높이 5.25M 크기의 2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생산된 수돗물을 저류하던 곳이었고,
상부는 테니스장으로 이용되었다. 이곳의 물은 현재 한강 전시관으로 쓰여지는 송수펌프실에서 최종 소비자에게 보내졌다.
옛 정수지의 윗 부분을 덮고 있던 구조물은 철거하고 기둥만 남겨 고요한 질서을 지닌 휴식과 사색의 공간을 조성하였다.
기둥 끝부분에 붙어 남아 있는 상부 덮개의 흔적은 이곳의 지난 모습을 상상할 수 있게 한다.
정원 가운데 긴 의자가 있는 곳은 구조물을 두개로 나누는 벽이 있던 자리이다.
어둠이 찾아와 녹색기둥 하나 하나마다 달라붙어 자라고있는 담쟁이넝쿨에 조명이 비추면 삭막한 콘크리트가 자연과 빛이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변한다.
특히 밤에 빛과 잘어울려져 영화 및 드라마 촬영지로 많이 촬영되었다.
3번째로 수생식물원은.....?
규 모 : 56.9mх48.9m, 면적 2.782m²
식재식물 : 백련, 수련, 갯버들, 금불초, 낙지다리 등
구 성 : 여과지를 재활용한 수생식물원은 낮은 수반에 자리잡은 다양한 수생식물의 모습과 생장과정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다
제 1여과지
이곳은 가로 8M, 세로 17.5M 크기의 8개의 수조를 갖추고 있던 지상 1층 연면적 2,564㎡의 건물로 모래와 자갈로 된 여과장치로 물 속의 불순물을 걸러내던 곳이었다.
이곳에서 걸러진 물은 현재 녹색기둥의 정원과 한강전시관으로 쓰여지는 정수지에 저류 되었다.
수생식물들은 다른 식물들에 비해 환경오염과 파괴에 더욱 민감하여 지금도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수생식물들이 풍부하게 자라고 있는 곳은 곧 그곳의 환경이 건강하고 단조롭지 않다는 증거이며,
곤충과 동물들에게도 이상적인 삶의 터를 제공한다.
습기가 많은 곳에 사는 습지 식물과 얕은 물가에 사는 정수식물들은 주로 북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물위를 떠다니며 생할하는 부유식물, 뿌리는 땅속에 있으면서 잎을 물 위로 띄우는 부엽식물과 물속에서 사는 수중식물은 주로 남쪽에 자리 잡고 있다.
4번째로 시간의 정원은.....?
규 모 : 4.6mх46m, 면적 3.976m²
식재식물 : 당귀, 백리향, 으아리, 줄사철, 고사리류, 자작나무 등
구 성 : 약품침전지를 재활용하여 다양한 식물의 세계를 꾸민 공간.방향원, 덩굴원, 색채원, 소리의 정원, 이끼원, 고사리원, 푸른 숲의 정원,
초록벽의 정원 등 작은 주제정원을 감상할 수 있다.
제 1침전지
이곳은 가로 41M, 세로 41.4M, 깊이 5M 크기의 수조 2개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물속의 불순물을 가라앉혀 제거하는 역활을 하던 곳이다
주제정원들 중 기존 구조물을 가장 온전하게 남겨 활용한 공간으로 그 안에 자리 잡고 자라나는 식물들이
시간의 흔적을 더욱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까닭에 시간의 정원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옛 구조물의 형태를 살려 햇빛과 그늘, 스도를 조절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생육환경을 만들었다.
그에 따라 각기 다른 주제를 가진 작은 정원들은 그 생육환경에서 자라나는 다양한 식물들을 보여준다.
끝으로 시설이용 안내 입니다
테마정원 - 『수질정화원』,『수생식물원』,『녹색기둥의 정원』,『시간의 정원』으로 구성
-운영시간 : 06:00 ~ 24:00 선유도안내센터 Tel : 02-3780-0590
주차시설 - 일반차량 출입제한
장애인 이용 차량만 주차가능
1개소, 총 48대 주차가능
선유교 - 길이 469m(아치 120m), 폭 3~14m(선유교 양끝 지점 14m, 선유교 중앙 3m)
안개분수 - 선유도공원 남측 옹벽에 설치(동절기 운영중지)
가동시간 : 하루 4회 야간에만 가동
(20:00~20:10, 21:00~21:10, 22:00~22:10, 23:00~23:10)
매점시설 - 까페테리아 『나루』 - 음료 및 양식전문 02-2068-6340
월드컵분수대 - 위 치 : 선유도 하류 410m 지점
가동기간 : 4월~10월 (7개월)
가동시간
평일 : 고유가 에너지 절약 대책에 따라 당분간 평일은 가동 중지
"매주 월요일은 정비의 날"입니다.
휴일(토,일요일 및 공휴일 : 11:00(2시간), 17:00(2시간)
HI Seoul Festival 행사기간 토,일 및 공휴일 :
11:00(2시간), 17:00(3시간)
가동중지 : 비, 짙은안개, 강풍 등 부득이한 사유로 가동할 수 없는 경우...
기타시설 - 선유교, 선유정, 방문자안내소, 환경물놀이터
"유의사항"-- 공원 내 자전거 이용불가(진입금지)
이렇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저도 이곳에 오래 살았지만 아직까지 많이 지나는 다녀보았지만 실제 가본적은 없기에
이번기회에 함 가볼려고 합니다...
하나하나 조목조목 뜯어 봐야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