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목은 야생화의 정명을 사용합니다
조영진 2007.04.05 23:39 조회 수 : 3973
  • Canon EOS 20Df/5.61/500sISO2002007:03:30 14:42:39PatternFlash did not fire, compulsory flash mode100/1mm

  • 한 번 공부해 보세요.
    무슨 이야기들이 숨어 있을까 ?
    잎은 많이 보았지만 꽃은 보기어려워서 ...

    수호초는 목본일까? 아니면 초본일까?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회양목과의 늘푸른 숙근성 다년초입니다.

    학명은 Pachysandra terminalis Sieb. et Zucc.
    원산지는 중국, 일본, 사할린이라는데
    왜 하필 우리 한반도만 쏙 빼놓고 ............

    속명의 Pachysandra 는 그리스어로 Pachys(크다)와 ander(수술)의 합성어이다.
    위 그림에서 수술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나요?

    나무숲 밑의 습지를 좋아합니다.
    키는 2-30cm 정도 자라고 줄기는 꾸불꾸불하게 위로 자라고
    잎은 줄기의 끝부분에 진한 녹색으로 부드러업고 두껍게 모여서 방사상으로 모여납니다.
    윗쪽의 난상타원형의 잎가에 거치가 있지요.

    꽃은 줄기 끝에서 연한 황록색의 작은 꽃이 피는데 .....
    꽃술 부분에 숨은 이야기가 있어요.
    자웅 이화로 암꽃은 화수 아래에 몇개가 있지요.
    자세히 살펴보세요.
    안 보이면 지나쳐 버리고
    아는 만큼 보인다네요.

    학명의 terminalis는" 정생한다"란 뜻인데
    꽃도 정생하고, 잎도 줄기 끝에서 모여나므로 꽃과 잎 어느쪽이든 자기나름대로 판단하시고
    윤 평섭 씨는 잎 쪽으로 생각하는 모양이던데

    수호초를 부귀초 ,길상초 라고도 부른다는데 그 숨은 뜻은 각자의 해석에 맡기고
    학명대로 부르면 "파키산드라"인데 국명과 향명모두 좋은 뜻을 가진 이름들로 불리고 있지요,

    또한 변종으로 잎가에 노란 무늬가 있는 것을 무늬 파키산드라 (무늬 수호초)라고 하는데
    수호초의 변종입니다. 학명은 pachysandra terminalis SIEB. ET ZUCC var.variegata Hort.입니다.

    수호초를 수어초로 잘못 기록하여 혼란을 드린점 죄송해유
    타이핑이 약간 거시기 해서무리

    습기많은 곳(물가)에서 잘자라며 번식은 분주 또는 삽목으로 가능하므로 한가지 꺾어 꽂아만 놓으면
    간단히 이식 끝

    최근에 지피식물로 많이 심고 있어요.

    열매는 기르면서 관찰하시기를 궁금한것 한가지쯤은 남겨야지!

    열매는 무슨색일까요?
    붉은색, 파란색, 검정색, 흰색, 아니면 녹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