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댓글 4
|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 식물 | 식물의 자기 방어 [4] | 느티 | 2007.04.23 | 2487 |
| 57 | 식물 | 박상진 교수의 버드나무 이야기- [2] | 민들레 | 2007.03.05 | 1683 |
| 56 | 사진 | (팁)연꽃사진 찍기전에 [1] | 변산해풍 | 2007.07.12 | 2288 |
| 55 | 곤충 | 꽃등에이야기... [6] | 붉은점 | 2007.05.19 | 1797 |
| 54 | 정보 | 꿀벌이 사라지고 있어요 / 오마이뉴스 | 느티 | 2007.04.26 | 1701 |
| 53 | 정보 | ■ 야생화 탐사시 지켜야할 사항 ■ [3] | 민들레 | 2007.02.22 | 1570 |
| 52 | 산나물종류와 먹는 방법.. [5] | 꽃향유 | 2008.05.09 | 8937 | |
| 51 | 추천도서 | <야생화 촬영법> 및 <봄꽃 쉽게 찾기>출간 이벤트 진행 중 입니다. [7] | 돌부처 | 2008.05.02 | 1866 |
| 50 | 식물자료 | 천마산의 봄꽃 [5] | 관리자 | 2008.04.22 | 1816 |
| 49 | 사진자료 | 모니터 밝기 조정하세요.. [3] | 변산해풍 | 2008.04.14 | 2977 |
| 48 | 일반자료 | 욕망하는 식물 [3] | 쇠뜨기 | 2008.03.13 | 1717 |
| 47 | 일반자료 |
사진정보 보는 프로그램
[3] |
밤비 | 2008.01.14 | 2108 |
| 46 |
제2차 정기모임 자료집
|
민들레 | 2007.05.02 | 1278 | |
| 45 |
제 1차 정기모임 자료집-
|
민들레 | 2007.03.20 | 1201 | |
| 44 | 추천도서 | 야생화 쉽게찾기 [1] | 금강초롱 | 2007.02.22 | 1539 |
| 43 | 식물의 정신세계 | 민들레 | 2007.02.22 | 1325 | |
| 42 | 작은도서관 안내 | 민들레 | 2007.02.22 | 1238 | |
| 41 | 나무쉽게찾기 | 금강초롱 | 2007.02.22 | 1273 | |
| 40 | 한국의 수목 | 금강초롱 | 2007.02.22 | 1255 | |
| 39 | 한국의 야생화 | 금강초롱 | 2007.02.22 | 1218 |
특히 식물은 겨울의 매서운 추위를 이겨내야 다음해에 꽃을 피우고 열매도 맺지요.
그렇게 해서 자기를 먹거나 해치려 하는 동물들을 다가오지 못하게 한답니다. ‘쐐기풀’이란 식물의 가시는 주사기와 같아서 자기를 만지는 동물에게 독침 주사를 놓아요. 흔히 볼 수 있는 아카시아나무에도 큰 가시가 있는데, 이런 가시는 원숭이와 같은 동물이 자기 몸을 타고 오르는 것을 막는답니다. 식물의 가시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장미 가시인데, 이것은 아주 무서워요. 꽃집에서 파는 장미는 가시를 잘라 내서 잘 볼 수 없지만 산과 들에서 자라나는 찔레꽃, 해당화 등 장미의 사촌 식물에겐 무서운 가시가 돋쳐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벚나무 잎자루에는 작은 꼭지가 2개 보이는데 이것을 화외밀선이라고 해요. 꽃은 아니지만 이 곳에서 꿀이 나오지요. 그러면 왜 벚나무는 귀한 꿀을 잎에서 내보내는 것일까요? 벚나무가 꿀을 내보내면 개미가 모여드는데, 이 개미들은 성질이 사납고 타고난 싸움꾼이라 벚나무에 있는 진딧물을 잡아먹고, 알을 낳으러 벚나무에 오는 나방이나 나비를 공격하기도 하지요. 나방과 나비가 잎에 알을 낳으면 그 알이 애벌레가 되어 벚나무 잎을 먹어요. 그래서 벚나무는 자기 몸을 보호해 주는 개미들에게 꿀을 선물로 주면서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경호원으로 쓰는 것이지요.
식물은 움직일 수가 없기 때문에 자기 몸을 뜯어먹는 노루 같은 초식 동물에게 꼼짝없이 당할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답니다. 식물도 자기 몸을 지키고 꿋꿋하게 살아남아서 자식을 세상에 퍼뜨리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이렇게 식물이 자기 몸을 지키려 할 때 가장 흔하게 쓰는 방법이 몸에 독을 지니는 거예요. 그런데 이런 경우에도 문제가 있어요. 모든 식물은 제 나름대로 독을 품고 있지만 독 기운이 약하거나 동물들이 독이 있어도 그냥 뜯어먹어 버리기 때문이지요. 우리가 먹는 한약은 주로 식물이 재료가 된답니다. 식물이 자기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 품고 있는 독을 사람이 약으로 이용하는 것이지요.
아기가 태어나면 모르는 사람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금줄’이라는 것을 걸었는데, 이 금줄에도 소나무 잎을 달아 놓았어요. 또, 소나무로 집을 짓고 불을 지피고, 소나무 그늘에서 쉬다가, 결국 죽어선 소나무로 관을 만들어 무덤까지 지고 간다는 의미지요. 이처럼 소나무가 우리 조상들에게 가까웠던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송진 때문이에요. 송진은 소나무가 품고 있는 독이지요. ‘송충이는 솔잎을 먹고 살아야 한다.’는 속담이 있는데, 소나무를 먹을 수 있는 것은 인간과 송충이뿐이랍니다. 만약 사슴이 소나무를 먹으면 소화불량에 걸릴 거예요. 병원에 가지 못하는 사슴은 그대로 죽게 될 수도 있어요. 우리가 송편을 해 먹는 소나무는 그만큼 무시무시한 독을 품고 있답니다.
‘복수초’란 식물은 우리 나라 식물 중 가장 무서운 독을 가지고 있지요. 복수초는 눈도 녹지 않은 이른 봄에 꽃을 피운답니다. 만약 이른 봄에 싹을 틔우는 식물이 독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겨울 동안 제대로 먹지 못한 사슴, 노루, 곰 등에게 먹혀서 꽃을 피우지도 못할 거예요.
다른 방법을 쓰는 좀더 똑똑한 식물도 있어요. 향나무의 1년생 잎은 가시같이 뾰족해요. 그런데 다음해에는 잎을 부드럽게 바꿔 버려요. 잎의 모양을 바꾸면 동물이 먹지 못한답니다. 자기가 먹어 본 것만 먹는 동물의 습성 때문이지요. 은행나무도 잎의 모양을 바꿔요. 아래쪽에 자라는 잎은 많이 갈라져 있고, 위쪽에 자라는 잎은 갈라져 있지 않아요. 그러면 동물은 아래쪽의 갈라진 잎만 뜯어먹고 그냥 가요.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지요. 만약 위쪽 잎까지 다 뜯어먹어 버리면 은행나무는 키도 크지 못하고 자손도 퍼뜨릴 수 없을 텐데, 매번 같은 것만 먹는 의심 많은 동물 덕분에 높이 자랄 수 있는 거랍니다.
무기? 지식. 재물...... 결국은 생존에의 요구와 직결되는군요.
식물의 방어전략을 읽으며 참 대단하단 생각이 새삼 드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