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민들레 2007.02.28 18:20 조회 수 : 1822
 






 

사람 따라 다르겠지만, ‘민초’(民草)라고 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김수영의 ‘풀’이다. 나중엔 일어나 웃지만, 비를 몰아오는 마파람에 발밑까지 엎드려 울 수밖에 없는 힘없는 민초의 모습을 그렸다. 그런데, 그런 모습을 질기디질긴 ‘질경이’라는 풀에서 본다. 질경이는 주로 길가에 줄기 없는 잎들이 서로 얼싸안고 “나 잡아 잡수!” 하는 양 땅바닥에 납작 엎드려 자란다. 사람들의 발길에 짓밟히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끈질기게 살아서 남는다. 그래서 밟고 밟아도 다시 일어서는 질긴 풀이라는 뜻이 담긴 이름이 붙었다. 식물학자들이 확인한 바로, 질경이는 잎 조직이 질겨서 잘 찢기지 않으며, 생장점이 땅속에 있어 뜯겨도 견디며 다시 난다고 한다.

이름에 걸맞게도 질경이는 가난한 백성들이 보릿고개를 넘기게 하는 구황식물이기도 했다. 가난한 시절 멀건 죽을 먹을 수밖에 없었던 나이 드신 분들도 적잖은데, 요즘은 ‘참살이’의 한 방편으로 ‘질경이밥 하는 법’이 신문·방송에까지 돌고 있으니, 세월이 돌고 돎을 느낀다. 아이들은 질경이를 뿌리째 뽑아 제기를 차기도 해서 ‘제기풀’이라고 부르기도 했으며, 요즘은 생태학교 학습 프로그램에도 등장한다.

한자말 이름은 ‘차전초’(車前草)인데, 말 그대로 ‘수레바퀴 앞에 있는 풀’이라는 뜻이다. 수레바퀴에 깔리면서도 살아남는 끈질김을 질경이한테서 본다. 북한에서는 ‘길짱구’라 부른다. 길에서 잘 자라는 풀이라는 뜻이니까 차전초와 뜻이 바로 통한다. 옛말은 ‘길경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 야생초편지 금강초롱 2007.02.22 1108
57 파브르 식물기 금강초롱 2007.02.22 1251
56 한국의 야생화 금강초롱 2007.02.22 1191
55 한국의 수목 금강초롱 2007.02.22 1230
54 추천도서 야생화 쉽게찾기 [1] 금강초롱 2007.02.22 1477
53 나무쉽게찾기 금강초롱 2007.02.22 1251
52 작은도서관 안내 민들레 2007.02.22 1215
51 식물의 정신세계 민들레 2007.02.22 1300
50 정보 ■ 야생화 탐사시 지켜야할 사항 ■ [3] 민들레 2007.02.22 1508
49 일반자료실입니다 [1] 민들레 2007.02.28 1407
48 식물자료 풀꽃이름- 노루귀 [1] 민들레 2007.02.28 1961
47 식물자료 풀꽃이름----뚱딴지 [2] 민들레 2007.02.28 1940
» 식물자료 풀꽃이름--------질경이 [2] 민들레 2007.02.28 1822
45 식물 박상진 교수의 버드나무 이야기- [2] 민들레 2007.03.05 1624
44 제 1차 정기모임 자료집- file 민들레 2007.03.20 1177
43 식물 식물의 자기 방어 [4] 느티 2007.04.23 2422
42 정보 꿀벌이 사라지고 있어요 / 오마이뉴스 느티 2007.04.26 1661
41 제2차 정기모임 자료집 file 민들레 2007.05.02 1256
40 곤충 꽃등에이야기... [6] 붉은점 2007.05.19 1723
39 식물자료 한국특산식물 목록 [2] 민들레 2007.05.30 2270